본문 바로가기

생활 -----------------------/핫이슈 & 생활정보

국내 로켓 첫 공개




우주의 꿈’ 싣고 갈 국내 로켓 첫 공개



【외나로도(고흥)=조성진기자】 전남 여수 공항에서 버스를 타고 2시간 남짓 달려 도착한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지난 16일 이곳에선 우리땅에서 처음으로 우주로 쏘아올릴 소형위성발사체(KSLV-1)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나로우주센터 민경주 센터장은 “러시아측 연구인력과 우리 연구원들이 함께 준비를 철저히 해왔다. 현재 지상설비는 준비가 끝났고 성능시험 중”이라며 “이 시험을 마치고 최종 인증을 통과하면 내년 2분기에 우주로 쏘아올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곳에선 현재 러시아에서 파견된 35명의 기술진과 120여명의 우리 연구진이 KSLV-1의 성공적 발사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KSLV-1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2호’ 위성을 저궤도에 올려놓을 발사체. 발사에 성공할 경우 우리나라는 13번째 우주센터를 갖게 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이날 발사체 조립동에서 KSLV-1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결합을 시연했다.


■한국과 러시아의 합작품

KSLV-1은 우리나라가 개발한 상단부에 러시아의 추진로켓을 결합해 만들었다. 항우연이 개발한 상단부는 2단 킥모터, 관성항법유도시스템, 전자탑재시스템, 제어시스템, 비행안전시스템, 노즈페어링 등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핵심 구성품들로 구성됐다.

하지만 하단부는 러시아의 추진 로켓을 들여와 쓴다. 하단부 개발까지 포함한 100% 자력 개발은 아직 어렵다. 이는 하단부 로켓이 대륙간 탄도미사일로 곧바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유국들이 기술노출을 꺼리는 때문이다.

항우연은 지난 4월 상단부 개발을 완료하고 현재 로켓 보호 덮개(노즈 페어링)가 정상적으로 개폐되는 지, 위성을 임무 궤도에 올려 놓기 위한 2단 킥모터가 제대로 점화되는 지 등에 대한 점검을 모두 마쳤다. 그리고 지난 8월에 들어온 러시아 흐루니체프사의 시험용 앙가라(RD-151) 로켓은 상단부와의 조립시험을 진행중이며 실제 로켓은 발사장이 완공된 이후 국내에 반입될 예정이다.

■KSLV-1, 발사 9분 후 위성분리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오는 2009년 2·4분기에 SLV-1은 발사장을 떠난다. SLV-1은 한반도 남쪽을 향해 수직으로 900m가량 날아간 후 일본 오키나와 방향으로 선회해 비행을 계속할 예정이다. 일본영토에 들어섰을 때면 이미 100㎞ 상공에 있기 때문에 영공을 침해하지 않게 된다.

발사 후 238초가 지나면 KSLV-1은 1단과 2단 엔진을 분리, 1단 엔진을 바다에 떨어뜨린다. 그리고 540초가 지나면 호주 부근에서 2단엔진까지 떨어뜨리고 고도 306㎞까지 올라간다. 이곳은 공기가 없으니 마찰도 거의 없는 상대. 여기서 KSLV-1 상단부는 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탑재부에 설치한 페어링을 떼어내며 위성을 분사시킨다. 1단과 2단 로켓이 실어준 힘 덕분에 위성은 점점 더 고도를 높이다 발사 40여 분이 지나면 남극을 넘어 지구 반대편에서 돌아야 할 궤도에 진입한다.

현재 KAIST 인공위성센터에서 보관중인 과학기술위성 2호는 KSLV-1에 실려 지구 저궤도(300㎞∼1500㎞)에 진입한 후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를 이용한 대기 및 지구복사에너지 측정’, ‘위성탑재 레이저반사경을 통한 위성궤도 정밀 측정’ 등의 임무를 2년동안 수행하게 된다.

■우주개발에 꼭 필요한 첫걸음

KSLV-1 발사가 성공할 지는 아직 미지수다. 처음 개발하는 발사체의 성공 확률은 50%도 안되기 때문이다.

조광래 발사체사업단장은 “브라질의 경우 세번이나 발사체 발사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첫 발사에 성공한 나라는 이스라엘, 프랑스, 구소련 등 세 국가 뿐이다. 나루우주센터의 모든 연구원들이 발사체 성공에 장담을 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KSLV-1을 통한 위성 발사가 성공할 경우 우리나라는 세계 13번째 우주센터를 갖게 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12개국에서 모두 26개의 우주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10개의 발사장을, 중국과 일본도 2∼3개의 발사장을 각각 갖고 있다. 인도, 프랑스, 브라질, 파키스탄, 호주 등 7개국도 각각 1개씩의 우주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발사를 통해 얻은 기술과 경험을 토대로 정부가 추진하는 우주개발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1.5t급의 저궤도 실용위성을 자력발사하는 ‘KSLV-2’ 한국형 발사체 개발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국가우주개발 계획의 독자적 수행으로 발사체 기술의 자주권을 확립하는 시간을 앞당길 수 있을 전망이다.

현재 정부는 2017년까지 300t급 한국형 발사체를 자력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2026년까지 우주탐사용 위성발사가 가능한 우주운송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또 달 탐사위성(궤도선) 1호를 2020년 발사하고 달 탐사위성(착륙선) 2호는 2025년 쏘아 올린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이들 기술이 자립화하는 2016년부터 우주개발 사업을 민간 기업이 이관할 계획이다.

/talk@fnnews.com

기사 출처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455722&cDateYear=2008&cDateMonth=10&cDateDay=19


드뎌 우리나라도.. 인공위성 생기는 건가? 냐하~~ -_-ㅋㅋ
러시아가 기술이 좋긴 좋은가보다..

러시아는 인구수도 적은데 정말 대단한 사람들인것 같다..

해외에서 우리나라도 굉장히 우수하게 비취는데 그런 우리나라가 손을 벌릴정도란 말인가. ㅎㅎ

하긴.. 우리나라정부는 과학에 너무 관심이 없는것 같긴하다.

이공계계열에 지원이 거의 바닥인거 보면..

언제쯤 우리나라도 제대로된 선진국이 될까..